Information Architecture (IA) 정보 아키텍처 테스트 하기 - UX 리서치 방법
UX 리서치에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불편한 점과 필요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다양한 리서치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한 후,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왜 이 방법으로 사용자 조사를 진행했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문제점
지난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팀이 새로 만든 페이지가 NHS Digital 웹사이트 내에서 상당히 찾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헬스케어 소프트웨어를 만들 시 도움을 주는 가이드(설명서)들을 모은 페이지로,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보다 쉽게 가이드를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문제는 기존에 있던 NHS Digital 웹사이트에 이 가이드를 포함하려니 사람들이 이 정보를 쉽게 찾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
Why?
그렇다면 왜 사람들이 이 페이지를 찾기 어려워했을까?
이 문제에 대한 가설은 이러한 것이 있다:
- 페이지의 제목: 이 가이드를 담은 페이지의 제목이 불분명하여 혹은 '개발자'를 위한 페이지 같아 사람들이 찾기 어려워했다
- 정보 구조*에 문제: 복잡한 정보들이 체계화되지 않아 사람들이 정보를 찾기 어려워했다
- 테스팅의 한계: 선행된 사용성 테스트는 오직 이 문제만 다루는 것이 아닌 포괄적인 문제를 찾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그렇기에 이 문제를 확실하게 정의할만한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
*Information Architecture(IA) 정보 아키텍처/구조란?
리처드 사울 워먼(Richard Saul Worman)은 정보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IA) 개념을 처음 소개했는데 '데이터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바꾸는 것.'이라고 정의를 내렸다.
Interaction Design Foundation에서 피터 모빌, 루이스 로젠펠드가 지은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Information Architecture for the World Wide Web'에서 Information Architecture(IA)의 요소를 그린 다이어그램을 소개한다. 사용자, 콘텐츠 및 컨텍스트의 상호 의존적인 특성을 이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좋은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환경에 따라 유동적인 이 모든 세 가지 영역에서 정보를 취하고 결론적으로는 이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잘 정의하기 위한 UX 리서치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 다이어그램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원문을 읽기를 추천한다: Nielsen Norman Group - When to Use Which User-Experience Research Methods
다양한 리서치 방법론이 있겠지만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가지 방법을 선택했다.
- 페이지 제목 - 서베이:
- '제목이 사용자에게 불분명 한가?', '상위 항목 페이지 제목에 '개발자'라는 단어가 들어감에 따라 더 선택하기 어려웠는가?'에 대한 질문이 내가 사용자에게 던지고 싶은 질문이다. 두 가지 답에 있어서는, 다양한 직종을 가진(개발자 포함) 사용자의 '예/아니요'라는 양적 데이터가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이 된다.
-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behaviorial (행동) / attitudinal (태도) 축에서 태도에 관한 연구에 가깝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의 진술된 믿음을 이해하거나 측정하는 것으로, 보통 이 사람들의 '믿음'은 그들이 인식하고 있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에 한한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제한이 그들의 로직(논리)을 잘 이해할 수 있게끔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다음 qualitative (질적) / quantitative (양적) 축에서는 양적 조사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제목 때문에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라는 질문에 있어 '예/아니요'의 양적 정보가 이 조사에 있어서는 선행되어야 한다 생각한다. 그 후에는 '왜 이 제목 때문에 정보를 찾기 어려웠는 가' 질문을 추가하면 좋다고 생각한다.
- 정보 구조 - 트리 테스팅:
- '이 가이드 페이지가 본인이 예상한 페이지 위치에 있는가?'가 내가 중점으로 묻고 싶은 질문이다.
- 이 가설은 예상을 한다에 있어 '태도 연구'도 중요할 뿐만 아니라 그렇기에 이러한 '행동'을 했다도 중요하기에 다이어그램 y 축에서는 서베이보다는 '행동 연구'에 아주 살짝 가까워진다. 하지만 사용자의 의도가 중요한 연구여서 그래프 상에는 상당이 아래쪽에 속해있다. 양적, 질적 연구인가에 대해서는 내가 의도하는 연구는 좀 더 양적연구에 가까운데 이 그래프에서는 가운데에 위치해 있다. 여기에서는 인터뷰-설문 테스트 방법과 비교해서 트리 테스팅은 가운데 위치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듯하다.
다음 글에서는 트리 테스팅이 무엇인지 소개하겠다.
Coming soon>
레퍼런스
Tree Testing: Fast, Iterative Evaluation of Menu Labels and Categories - Nielsen Norman Group
Tree Testing 101 – Tree Testing Basics
[번역] 웹디자인을 위한 IA(Information Architecture) 만들기
UX 디자이너 인사이트 도출 후 정보구조 설계 information architecture란?
[바이널엑스] UX 디자이너들의 필수 용어 사전: Information Architecture (IA / 정보 아키텍처)
Information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