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리서치

Information Architecture (IA) 정보 아키텍처 테스트 하기 - Tree testing 트리 테스팅

Esther Jo 2023. 5. 13. 21:46
728x90

다양한 UX 리서치 방법과 왜 트리 테스팅을 선택했는지 궁금하면 🌳👌?

Information Architecture (IA) 정보 아키텍처 테스트 하기 - UX 리서치 방법

 


 
Tree testing 트리테스팅이란?

계층 구조에서 항목을 찾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를 결정하기 위해 정보 아키텍처를 정량적으로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가장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카드 정렬 테스트 후 트리 테스트를 하여 메뉴 구조를 평가하는 것을 Nielsen Norman Group에서는 추천하고 있다.
 
트리테스팅 디자인하기
엑셀에 정리해도 좋지만 사용자와 인터렉티브 한 테스트를 할 것 이면 몇 가지 테스팅 툴을 추천한다.
 
테스팅 툴
Optimal Workshop - Treejack (무료 체험, 유료)
Userzoom - Tree testing (무료 체험, 유료)
UXtweak - Tree testing (무료 체험, 유료)
UXarmy - Tree testing (무료체험, 유료)
Useberry - Tree testing (무료체험, 유료)
Playbook UX - Tree testing (유료)
Maze - Tree testing (무료체험, 유료)
이 중에서 우리 회사는 Optimal Workshop의 Treejack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트리란?
트리는 모든 그래픽 구성요소 없이 웹 사이트 구조가 텍스트화된 버전이다. 이는 사이트 맵(site map) 또는 메뉴 같은 hierarchical navigation 계층형 탐색과 유사하다.
때문에 사용자는 실제 디자인이 아닌 트리 내용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트리 구성 요소

  • 범주 레이블 (Category labels) – 범주 레이블(첫 번째 레벨, 두 번째 레벨 등)을 상위 노드라고 합니다. 상위 노드 (부모 노드, parent node)는 트리에 더 많은 레이블(하위 노드라고 함)이 있는 레이블이다. 유서들은 상위 노드를 클릭해 하위 노드를 확인해야 한다.
  • 내용 레이블 (Content labels) – 범주 레이블 안에 있는 하위 노드이다.

사용하는 용어가 영어, 한국어 다양한듯 하여 용어 정리가 힘들었다. 그래서 요세 핫한 ChatGPT를 써봐서 트리 테스팅의 트리 구성 요소에 대해 물어보았다 (정말 ChatGPT는 혼자 공부할 때 좋은 툴이라고 생각한다).
 
ChatGPT가 말한 트리 구성 요소

  • 상위 노드 - Parent node: 테스트할 메인 카테고리 또는 섹션을 나타내는 최상위 노드
  • 하위 노드 - Child node: 상위 노드 아래에 있고, 상위 노드의 하위 카테고리 또는 섹션을 나타내는 노드
  • 리프 노드 - Leaf node: 사용자의 최종 목적지 또는 끝점을 나타내는 가장 낮은 수준의 노드
  • 루트 노드 - Root node: 트리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노드
  • 분기 - Branch: 루트 노드를 리프 노드에 연결하는 노드의 경로
  • 태스크: 사용자가 트리 내에서 완료하도록 요청받은 특정 지침 또는 질문
  • 성공률: 트리 내에서 지정된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사용자의 비율
  • 소요 시간: 사용자가 트리 내에서 지정된 작업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

위에 언급된 '레이블'과 '노드'라는 명칭의 차이를 궁금해 하니  ChatGPT가 알려주길 - 노드는 테스트 프로세스 중에 사용자가 상호 작용할 개별 항목 또는 페이지를 말하는 반면 레이블은 해당 노드 또는 페이지를 설명하는 단어 또는 구라고 한다.
예를 들어 노드는 웹사이트에서 구체적인 웹페이지일 수도 있고 아니면 네비게이션 바에서 메뉴 아이템일 수도 있다. 레이블은 웹페이지나 메뉴 아이템에 있는 텍스트같은 것이다. 그래서 노드가 실제로 테스트 되는 아이템이고 레이블은 그 아이템에 있는 이름이나 설명이다.
 
그래서 Optimal workshop에서는 글자만 담을 수 있기에 '레이블'이라고 명시한 것이다.
똑똑한 ChatGPT 덕분에 용어 정리를 확실하게 한듯하다. 
 
실제로 이번 프로젝트에서 한 트리 테스팅을 예시로 다음 글에서 다루겠다.
Coming soon>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