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ar my NHS

내가 읽고 이해한 NHS 보건의료 생태계 🌱 2

by Esther Jo 2022. 5. 11.
728x90

NHS 보건의료 생태계 첫 편, 이전 글 확인하기 >

내가 읽고 이해한 NHS 보건의료 생태계 🌱 1

이전 글에 이어 NHS 보건의료 생태계 - 그중 APIs - 에 대 해 더 소개하고자 한다.

API를 표현한 예시 이미지
API를 표현한 예시 이미지 [이미지 출처: freepik.com]

Chapter 4 통합 의료 시스템과 APIs

환자에게 지속적이고 일관된 의료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IT 시스템이 필요하다. 때문에 IT 시스템 간 원활한 소통이 중요한데, 이 IT 시스템끼리는 APIs를 통해 소통한다.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각각의 APIs를 소개한다.

동기식 APIs, Synchronous APIs

동기식 혹은 동시 발생 API는 호출 시스템에서 즉각적인 응답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메시징 혹은 비동기식 APIs, Messaging or asynchronous APIs

이는 동기식 API와 달리 즉각적인 응답이 필요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API 서비스, API services
API 서비스란 의료 시스템이 대화할 수 있는 호출 가능한 API를 말한다.

이 API 서비스에는 국가 서비스를 위한 중앙 APIs (Central APIs for national services)가 있고, 중개인 APIs (Intermediary APIs - proxies and message brokers)가 있다.

중앙 APIs에는 PDS 등, 국가 서비스에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API들이 포함된다. 만약 한 로컬 시스템이 다른 로컬 시스템과 대화를 해야 할 경우 로컬 시스템은 중개자를 통해 통신하게 된다. 이럴 경우 중개인 APIs를 사용한다. 이때 이 중개인 APIs는 이 통신이 올바르게 전달되도록 도와준다. 이 소통이 동기식이면 중개인은 proxy이고, 비동기식이면 message brokers라 부른다.

※ 'API 서비스'는 'API 표준(NHS Standards)'과 달리 사용하는데, API 표준은 API를 제공하지 않는 대신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직접 대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종이' 규격을 정의한다.

Peer-to-peer APIs

때로 지역 시스템은 중개인 없이 서로 직접 대화한다. 1 대 1인 경우도 있지만, 다대다 일 경우 지역 시스템은 라우팅(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해당 지역 안에서 관리해야 한다. 이로서 어떤 시스템에 어떤 메시지를 보낼지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서로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렇기 때문에 'API 표준'에 근거하여 API를 사용하는 게 중요하다.

 

그 밖에도

Publish-subscribe events

'발행-구독 이벤트' 모델은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이해 당사자에게 이벤트가 일어난 사실을 알리기 원할 때 사용된다. 이벤트 관리를 위한 국가 서비스로 NEMS(National Events Management Service)가 있다. 그리고 이 NEMS는 구독 중인 모든 이해 당사자에게 이벤트를 발행하는데 MESH(Message Exchange for Social Care and Health) 서비스는 각각 이해 당사자에게 맞게 이 이벤트를 전달한다.

API standards

앞서 소개했듯이 API 표준은 API를 제공하지 않는 대신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직접 대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종이' 규격이다.

API technologies

새로운 API를 개발 시 최신 API 표준을 사용하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기술이 변화할 때마다 API를 재구축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NHS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REST, SOAP, FHIR, HL7 Version 3, 그 밖에 더).

 

Chapter 5 임상 안전

Clinical safety 즉 임상 안전은 환자를 위한 것으로 단순히 NHS 뿐만 아니라 의료 기술을 개발될 때에도 고려되어야 한다. 고려되는 것들을 이러한 것이다:

 

Clinical risk management standards 임상 위험 관리 기준

소프트웨어를 임상적으로 안전하게 만들려면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고 관련 위험에 대해 적절한 완화책을 제공해야 해야 하는데 이를 '임상 위험 관리'라고 부른다. NHS에는 2가지가 있다.

1. DCB0129는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조직을 위한 것이며 사용자에게 적용된다.

2. DCB0160은 소프트웨어를 배포 및 사용하는 관리 조직을 위한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적용되지 않는다.

NHS 직원이라면 임상 안전 책임자(CSO)를 지명하거나 고용하여 이 DCB0129 기준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렇게 NHS 보건의료 생태계 탐구를 마친다. 그리고 NHS Digital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원문도 읽기를 추천합니다 (저의 부족한 영어 실력으로...). 사람을 탐구하는 유저 리서처가 되고 싶지만, 실질적으로 데이터와 백엔드 소프트웨어를 고려해야 하는 팀이기에 이 NHS 보건의료 생태계를 공부하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혹 더 좋은 자료 있으면 공유 부탁드리고 더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https://digital.nhs.uk/developer/guides-and-documentation/introduction-to-healthcare-technology

 

Introduction to healthcare technology - NHS Digital

A simple guide to healthcare technology in the NHS in England, for software developers, architects, product owners, entrepreneurs and CIOs. It covers the following topics: the healthcare ecosystem, the healthcare tech ecosystem, integration and APIs.

digital.nhs.uk


NHSX, NHS Transformation Directorate에서 근무하는 👶 주니어 유서 리서처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회사가 사라졌다
User researchers in NHS Transformation Directorate

간략한 NHS 소개와 그 회사들의 기본 입문편이 궁금하면? >

Who are you, NHS?
728x90

댓글